맨위로가기

조지아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 요리는 조지아의 다양한 지역적 특성과 역사를 반영하며, 풍부한 향신료와 호두, 육류를 활용한 요리가 특징이다. 압하지야, 아자리, 구리아, 이메레티, 카헤티, 카르틀리, 라제티, 사메그렐로, 므티아네티, 헤비, 헤브수레티, 프샤비, 투셰티, 라차-레치후미, 삼츠헤-자바헤티, 스바네티 등 각 지역마다 고유한 요리법과 식재료를 사용한다. 주요 음식으로는 하차푸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빵, 치즈, 수프, 스튜, 육류 요리, 소스 등이 있으며, 특히 와인은 조지아의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 요리 - 탄두르
    탄두르는 흙으로 만든 원통형 오븐으로,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며, 탄두리 치킨과 같은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조지아 요리 - 하차푸리
    하차푸리는 조지아의 전통 치즈빵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러시아, 아르메니아 등지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조지아 요리
지도
기본 정보
조지아 요리
조지아 요리
언어조지아어
종류
종류요리
기원조지아
주요리
고기힌칼리
므츠바디
하르초
치킨 타바카
차호흐빌리
오자할리
쿠치마치
차나키
가금류치킨 타바카
차호흐빌리
사치비
치히르트마
츠크메룰리
생선생선 므츠바디
채소아자프산달리
니그브즈니아니 바드리지니트
이시파낙히
피할리
수프하르초
치히르트마
하차푸리
쇼티스 푸리
토니스 푸리
므차디
유제품술구니
나두기
마초니
소스트케말리
사체벨리
아지카
디저트펠라무시
처치헬라
고지나키
음료조지아 와인
보르조미
라기제
차차
특징
특징다양한 채소 사용
고기 요리 풍부
향신료와 허브 사용
와인 생산 전통
수프라 문화
기타
참고캅카스 요리

2. 지역별 전통 요리

조지아는 각 지역마다 고유한 전통 요리가 발달했다. 중동, 유럽, 서아시아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조지아가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교역로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조지아 요리 문화는 케피 또는 수프라라고 불리는 연회와, 타마다라고 불리는 사회자가 특징적이다. 20세기 이후 러시아에서 조지아 요리가 널리 퍼진 것은 이오시프 스탈린이 카르트벨리인 출신으로 조지아 요리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2. 1. 압하지야

압하지야 요리는 향신료호두를 많이 사용한다. 압하지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로는 아비스타(Абыстаru, 옥수수로 만든 으로 마르갈 고미와 유사), 아피르필차파(Апырпылчапаru, 호두 소스를 채운 고추 껍질), 아치마(Ачмаru, 하차푸리의 변형), 아리츠브겔리(Арицвмгериru, 호두를 넣은 옥수수 빵), 아차쉬(Ача쉬ru, 압하지야식 추두, 치즈 포함), 아차파(Ачапаru, 호두를 넣은 강낭콩), 아쿠타그차파(Акутагьчапаru, 데블드 에그와 유사한 호두를 채운 삶은 달걀)가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디저트는 아쿠아르쿠아르(Аквакуарru, 꿀을 넣은 쿠키)이다. 아지카는 맵고 강렬하지만 미묘한 풍미를 가진 소스 또는 페이스트로, 종종 음식의 풍미를 내는 데 사용된다. 아지카는 건조 향신료 혼합물로도 판매된다.[1][2] 압하지야 와인에는 리흐니, 압스니, 아나코피아가 있다.

2. 2. 아자리

아자리아 요리는 지리적 특성(해안가, 산악 지대)과 역사에 의해 영향을 받아 매우 다양하게 발달했다. 산악 아자리아에서는 유제품이 주요 생산품이며 요리는 더 기름지고 묵직하다. 반면 이 지역의 해안가에서는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고 신선한 허브를 많이 사용한다.

아자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설명
아자룰리 하차푸리 (აჭა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보라노 (ბორანოka)기에 튀긴 잘게 썬 치즈
치르불리 (ჩირბულიka)호두와 토마토를 곁들인 오믈렛
말라흐토 (მალახტოka)호두와 덜 익은 포도 주스를 곁들인 으깬 강낭콩
이아흐니 (იახნიka)하르초와 유사한 스튜로, 전통적으로 코부레티와 그 주변에서 만들어짐
하비치 (ხავიწიka)기를 넣은 옥수수 죽
시노리 (სინორიka)나두기와 무발효 반죽으로 만듦
파클라바 (პახლავაka)바클라바의 일종
샤카르라마 (შაქარლამაka)비스킷


2. 3. 구리아

구리아의 요리는 주로 가금류(특히 닭고기), 옥수수빵(므차디)과 이메레티 요리와 마찬가지로 호두를 기반으로 한다. 구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는 다음과 같다.

  • '''사치비'''(საცივიka): 바제라고 불리는 호두 소스를 곁들인 고기 요리로, 주로 닭고기나 칠면조 고기를 사용한다.
  • '''므차디'''(მჭადიka): 옥수수빵이다.
  • '''쿠파티'''(კუპატიka): 돼지고기로 만든 소시지이다.
  • '''바드리자니 니그브짓'''(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ნიგვზითka): 호두 소스를 곁들인 튀긴 가지 요리이다.
  • '''구리안 그베젤리'''(გურული ღვეზელიka): 치즈와 삶은 달걀을 채워 넣어 만든 초승달 모양의 하차푸리이다. 보통 크리스마스에 먹는다.
  • '''브린줄라'''(ბრინჯულაka): 하차푸리와 비슷한 "반죽 베이스"를 가진 일종의 치즈 오믈렛이다.
  • '''프할리'''(ფხალიka)
  • '''쿠치마치'''(კუჭმაჭიka): 호두 소스와 석류를 곁들인 소 또는 가금류 간 요리이다.

2. 4. 이메레티

이메레티 요리는 인접 지역인 구리아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며, 호두를 듬뿍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3] 대표적인 이메레티 요리는 다음과 같다.

  • 이메룰리 하차푸리(იმე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조지아 치즈빵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 므차디(მჭადიka): 옥수수빵이다.
  • 프할리(ფხალიka)
  • 쿠치마치(კუჭმაჭიka): 호두 소스와 석류를 곁들인 소 또는 가금류 간 요리이다.
  • 소코(სოკოka): 튀긴 버섯이다.
  • 로비오(ლობიოka): 향신료를 넣은 으깬 붉은 콩이다.
  • 바드리자니 니그비지트(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ნიგვზითka): 호두 소스를 곁들인 구운 가지 요리이다.
  • 차호흐빌리(ჩახოხბილიka): 가금류 고기를 넣은 토마토 기반 수프이다.
  • 므츠닐리(მწნილიka): 오이, 양배추, 비트, 존졸리 등 절인 채소이다.
  • 에칼라(ეკალაka): 사스파릴라로 만든 프할리이다.
  • 쿠파티(კუპატიka): 돼지고기 소시지이다.
  • 사치비(საცივიka): 바제라고 불리는 호두 소스에 담긴 고기(주로 닭, 칠면조) 요리이다.
  • 치칠라 이스림-마크발시(წიწილა ისრიმ-მაყვალშიka): 블랙베리와 포도 기반 소스에 구운 병아리 요리이다.


이메레티는 치킨티(ჭყინტიka - 짠 치즈),[3] 이메룰리 크벨리(იმერული ყველიka) 및 술구니로도 유명하다.

2. 5. 카헤티

카헤티 요리는 육류를 기반으로 한 요리로 여겨지며, 이 지역 자체를 "와인의 지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한 종류의 조지아 빵인 토니스 푸리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카헤티의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므츠바디(მწვადიka - 불에 구운 고기)
  • 차카풀리(ჩაქაფულიka - 타라곤과 양고기 또는 어린 양고기와 같은 신선한 허브로 만든 수프)
  • 힌칼리(ხინკალიka - 고기로 채워지고 허브로 간을 한 만두)
  • 하쉴라마(ხაშლამაka - 쇠고기 또는 양고기 삶은 고기)
  • 하쉬 (ხაშიka - 삶은 고기, 보통 수프라 후에 먹음)
  • 차나키(ჩანახიka - 양고기와 토마토로 만든 수프)
  • 치히르트마(ჩიხირთმაka - 닭고기로 만든 수프)
  • 아자프산달리(აჯაფსანდალიka - 가지, 감자, 토마토로 만든 일종의 라구)


카헤티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디저트를 만든다.

  • 추르치헬라(ჩურჩხელაka - 포도 주스와 호두로 만든 사탕)
  • 펠라무시(ფელამუშიka - 포도 주스로 만든 디저트)


카헤티는 또한 알라자니 계곡, 친난달리, 킨즈마라울리와 같은 와인 재배 지역과 사페라비, 키시, 르카체텔리, 므츠바네를 포함한 많은 토착 포도 품종으로 유명하다.

2. 6. 카르틀리

카르틀리는 과일(특히 사과, 살구, 무화과, 복숭아)과 채소(특히 오이, 토마토, 양파)가 풍부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카르틀리 요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푸리스 카르초(პურის ხარჩო|푸리스 카르초ka - 빵으로 만든 수프의 일종)
  • 셰차만디(შეჭამანდი|셰차만디ka - 층층나무 또는 괭이밥으로 만든 수프)
  • 존졸리(ჯონჯოლი|존졸리ka - 방울꽃으로 만든 피클)
  • 차크라키나(ჭახრაკინა|차크라키나ka - 치즈와 사탕무 잎으로 채운 일종의 하차푸리)
  • 하비즈기나(ხაბიზგინა|하비즈기나ka - 오세트인하차푸리로 치즈와 감자를 채움)
  • 차카풀리(ჩაქაფული|차카풀리ka - 어린 허브와 양고기 또는 쇠고기로 만든 수프)

2. 7. 라제티

라제티의 역사적 부분은 대부분 터키에 위치해 있지만, 조지아의 라즈인, 특히 사르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통 음식을 계속해서 선보이고 있다.

  • 부레기/파포니(ბურეღი/ფაფონიka): 우유 푸딩을 채운 구운 달콤한 페이스트리.
  • 그레스타 (გრესტაka): 녹인 치즈와 버섯을 곁들인 닭고기 또는 쇠고기.
  • 캅차 타가네이 (ქაფშია ტაღანეჲka): 튀긴 멸치(음식)와 채소.
  • 캅차 프린코니 (ქაფშა ფრინჯონიka): 멸치 필라프.
  • 캅초니 므츠쿠디 (ქაფშონი მჭკუდიka): 튀긴 옥수수빵에 멸치 슬라이스, 프칼리와 허브를 곁들인 요리.
  • 루 두데 (ლუ დუდეჲka): 붉은 프칼리, 양파, 를 섞은 강낭콩.
  • 루 은자헤이 (ლუ ნჯახეჲka): 다양한 채소, 주로 양배추, 강낭콩, 감자에 옥수수 가루를 섞어 만든 일종의 죽.
  • 무흘라마(მუჰლამაka): 치즈를 곁들인 옥수수 가루.

2. 8. 사메그렐로

사메그렐로의 지역 요리는 조지아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여겨진다. 많은 향신료와 호두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메그렐 요리는 다음과 같다.

  • 고미(ღომიka: 옥수수 가루로 만든 )
  • 엘라르지(ელარჯიka: 술구니를 넣은 고미)
  • 게브잘리아(გებჟალიაka: 민트로 양념한 치즈 롤)
  • 메그렐 하차푸리(მეგ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위에 치즈를 얹은 하차푸리)
  • 쿠파티(კუპატიka: 돼지 내장과 돼지 뱃살로 만든 소시지)
  • 타바카(ტაბაკაka: 아지카로 요리한 닭고기)
  • 하르초(ხარჩოka: 쇠고기 수프)


술구니(სულგუნიka)는 전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아지카(აჯიკაka)는 고추와 향신료로 만든 소스이다. 사메그렐로와 압하지야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진다.

2. 9. 므티아네티, 헤비, 헤브수레티, 프샤비, 투셰티

이 요리들은 유사성 때문에 종종 하나로 간주된다.

  • 유명한 요리로는 힌칼리(ხინკალიka - 고기, 버섯, 감자 또는 코티지 치즈로 속을 채운 만두), 고르딜라(გორდილაka - 삶은 반죽), 카기(ყაღიka - 건조하고 소금에 절인 고기), 카우르마(ყაურმაka - 고기로 만든 일종의 수프), 코토리(კოტორიka - 코티지 치즈를 채운 하차푸리), 카초에르보(ხაჭოერბოka - 공 모양의 건조 코티지 치즈), 하비치(ხავიწიka - 녹인 치즈)가 있다.
  • 투셰티에서는 구다(გუდაka)라는 염소/양 기반 치즈도 생산한다.
  • 이 지역은 맥주(ლუდიka)와 지피타우리(ჟიპიტაურიka)라는 술로도 유명하다.

2. 10. 라차-레치후미

라차와 레치후미의 요리는 대부분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요리 그룹으로 묶이는 경우가 많다.

  • 라차와 레흐추미에서 알려진 요리로는 슈크메를리(შქმერულიka - 크림과 마늘로 만든 소스에 닭고기를 조린 요리), 로리(ლორიka - 돼지고기 베이컨), 로비아니(ka|ლობიანი}} - 강낭콩과 로리가 들어간 하차푸리의 일종), 로비오(ka|ლობიო}} - 으깬 강낭콩을 향신료로 간을 한 요리), 라추리 하차푸리(ka|რაჭ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 - 정사각형으로 만든 하차푸리의 일종)가 있다.

2. 11. 삼츠헤-자바헤티

삼츠헤-자바헤티의 요리는 메스헤티 요리와 자바헤티 요리 두 가지 지역 요리로 구성되어 있다. 유사성 때문에 종종 하나의 지역 요리로 간주된다. 이 요리는 거위 고기를 많이 사용하고 역사적으로 이 지역이 터키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조지아의 다른 지역 요리와 크게 다르다.

  • 삼츠헤-자바헤티의 유명한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설명
바티스 셰차만디 (ბატის შეჭამანდიka)거위로 만든 수프
메스후리 힌칼리 (მესხური ხინკალიka)거위로 속을 채운 힌칼리
아포흐티 (აპოხტიka)양고기, 쇠고기, 거위, 오리고기 건조육
타타르보라기 (თათარბორაგიka)삶은 반죽
Rdzis Korkoti (რძის კორკოტიka)우유에 삶은 밀알


  • 달팽이 또는 ''로코키나''(ლოკოკინაka)도 과거에 프랑스 가톨릭 신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매우 흔한 요리이다.
  • 삼츠헤-자바헤티는 또한 치리(ჩირიka - 건조 과일), 트클라피(ტყლაპიka - 과일 롤업) 및 테닐리 (ტენილიka - 보존된 손으로 늘인 치즈)로 유명하다.

2. 12. 스바네티


  • 스바네티의 주요 요리에는 쿠브다리(კუბდარი|쿠브다리ka - "스반 하차푸리"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양념된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로 채운 하차푸리), 페트브라알(ფეტვრაალი|페트브라알ka - 치즈와 수수로 채운 하차푸리), 치슈타리(ჭვიშტარი|치슈타리ka - 안에 술구니가 들어간 므차디), 루츠페크(ლუცფექ|루츠페크ka - 후추와 마늘로 양념한 삶은 보리 곡물), 카르쉴(ხარშილ|카르쉴ka - 보리와 쐐기풀 수프), 타쉬미자비(თაშმიჯაბი|타쉬미자비ka - 술구니를 넣은 으깬 감자) 등이 있다.
  • 스바네티는 엘더베리, 심지어 꿀과 같은 과일로 만든 현지 알코올로도 유명하다.
  • 스반 소금(향신료를 첨가한 소금)[4]
  • 아가실리스(스반어 ღეჰი ''Ghehi'' / 조지아어: დუცი ''Dootsi'')는 당귀와 유사한 지역 식물로, 소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별미로 생으로 먹거나, 요리하거나, 절임하여 약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기생충을 퇴치하고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5]

3. 주요 음식

조지아 요리는 조지아 고유의 요리이며, 조지아 국내의 주마다 독자적으로 발달한 요리나 전통 속에서 세련된 요리가 많다. 중동, 유럽, 서아시아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이 지역이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교역로의 중계 지점이었기 때문이다. 상호 간의 풍부한 아이디어향신료를 포함한 식재료가 오고 간 결과로 보인다.

조지아 요리 문화에서 특징적인 것은 케피 또는 수프라라고 불리는 연회와, 이를 돋우는 타마다라고 불리는 사회자의 존재이다. 이 연회에서는 많은 양의 와인과 맥주 종류, 그리고 다량의 조지아 요리가 제공되며, 타마다가 사회 진행과 스피치, 연회 오락, , 음악을 선보이며 분위기를 띄우는 것이 최고의 환영으로 전통이 되었다.

조지아 요리는 20세기 이후 러시아 국내에서 널리 퍼졌다.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서기장인 이오시프 스탈린이 카르트벨리인이었고, 조지아 요리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국내의 많은 도시에는 반드시 조지아계 레스토랑이 존재하며, 조지아 요리를 조지아 양식에 따라 제공하고 있다.

조지아의 주요 음식은 다음과 같다.


  • 아잡산달리(აჯაფსანდალი): 가지, 감자, 토마토, 양파, 허브 등 채소로 만든 요리.
  • 에칼라 니그브지(ეკალა ნიგზვით): 사스파릴라와 호두를 곁들인 요리.
  • 크나시(ქნაში): 잘게 썬 호박씨를 삶은 후 향신료를 넣어 둥글게 만든 요리.
  • 고그리스 구프타(გოგრის გუფთა): 공 모양의 호박 (일명 채식 케프타)
  • 셰차만디(შეჭამანდი): 주로 카르틀리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수프. 시금치, 아욱, 마늘, 산딸나무, 곡물, 수영, 분홍색 비늘나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 톨마
  • 바드리자니 무츠바닐리트(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მწვანილით): 신선한 허브(고수, 파슬리, 바질 등)와 튀긴 가지.
  • 바드리즈니스 키질랄라(ბადრიჯნის ხიზილალა): 다진 가지에 석류 씨와 허브를 곁들인 요리.
  • 바드리지니스 보라니(ბადრიჯნის ბორანი): 잘게 썰어 튀긴 가지에 향신료를 넣은 요리.
  • 프할리(ფხალი): 잘게 썬 채소에 석류를 곁들인 요리.
  • 로비아니(ლობიანი): 강낭콩이 듬뿍 들어간 하차푸리.
  • 로비오(ლობიო): 향신료를 넣은 으깬 강낭콩.
  • 로비오 니그브지(ლობიო ნიგზვი): 호두와 강낭콩.

3. 1. 애피타이저

압하지야 요리는 많은 향신료호두를 사용한다. 압하지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로는 아비스타(Абыстаru, 옥수수로 만든 으로 마르갈 고미와 유사), 아피르필차파(Апырпылчапа, 호두 소스를 채운 고추 껍질), 아치마(Ачма, 하차푸리의 변형), 아리츠브겔리(Арицвмгери, 호두를 넣은 옥수수 빵), 아차쉬(Ача쉬, 압하지야식 추두, 치즈 포함), 아차파(Ачапа, 호두를 넣은 강낭콩) 및 아쿠타그차파(Акутагьчапа, 데블드 에그와 유사한 호두를 채운 삶은 달걀)가 있다.[1][2]

아자리아 요리는 매우 다양한 요리로 여겨지며, 이는 지리적 특성(해안가, 산악 지대)과 역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산악 아자리아에서는 주요 생산품이 유제품이며 요리는 더 기름지고 묵직한 반면, 이 지역의 해안가에서는 요리가 대부분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고 신선한 허브를 많이 사용한다. 아자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는 아자룰리 하차푸리 (აჭა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보라노 (ბორანოka - 기에 튀긴 잘게 썬 치즈), 치르불리 (ჩირბულიka - 호두와 토마토를 곁들인 오믈렛), 말라흐토 (მალახტოka - 호두와 덜 익은 포도 주스를 곁들인 으깬 강낭콩)이다.

구리아의 요리는 주로 가금류(특히 닭고기), 옥수수빵(므차디)과 이메레티 요리와 마찬가지로 호두를 기반으로 한다. 구리아에서 인기있는 요리로는 바드리자니 니그브짓(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ნიგვზითka - 호두 소스를 곁들인 튀긴 가지), 구리안 그베젤리(გურული ღვეზელიka - 초승달 모양의 하차푸리로 치즈와 삶은 달걀을 채워 넣은 것으로 보통 크리스마스에 먹는다), 브린줄라(ბრინჯულაka - 하차푸리와 비슷한 "반죽 베이스"를 가진 일종의 치즈 오믈렛), 프할리(ფხალიka), 쿠치마치(კუჭმაჭიka - 호두 소스와 석류를 곁들인 소 또는 가금류 간)가 있다.

이메레티 요리는 인접 지역인 구리아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며, 호두를 듬뿍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가장 유명한 이메레티 요리에는 이메룰리 하차푸리(იმე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 조지아 치즈빵의 가장 흔한 버전), 므차디(მჭადიka - 옥수수빵), 프할리(ფხალიka), 쿠치마치(კუჭმაჭიka - 호두 소스와 석류를 곁들인 소 또는 가금류 간), 바드리자니 니그비지트(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ნიგვზითka - 호두 소스를 곁들인 구운 가지), 므츠닐리(მწნილიka - 오이, 양배추, 비트, 존졸리 등 절인 채소), 에칼라(ეკალაka - 사스파릴라로 만든 프할리)가 있다.

사메그렐로의 지역 요리는 조지아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여겨진다. 많은 향신료와 호두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메그렐 요리에는 게브잘리아(გებჟალიაka - 민트로 양념한 치즈 롤), 메그렐 하차푸리(მეგრული ხაჭაპურიka - 위에 치즈를 얹은 하차푸리)가 있다.

조지아의 대표적인 애피타이저는 다음과 같다.

  • 아브하주라(აფხაზურაka): 압하지야에서 유래한, 곱창 껍질에 싼 미트볼.
  • 아치마(აჩმაka): 여러 겹의 치즈와 빵으로 만든 요리. 소스가 없는 라자냐와 유사하다.
  • 아잡산달리(Ajapsandali)(აჯაფსანდალიka): 가지, 감자, 양파향신료로 만든 전통적인 조지아 요리.
  • 바드리즈니스 키질랄라(Badrijnis khizilala)(ბადრიჯნის ხიზილალაka): 튀겨서 잘게 썬 가지. "가지 캐비어"를 의미한다.
  • 존졸리(ჯონჯოლიka): 방울꽃의 절인 꽃봉오리.
  • 하차푸리(Khachapuri)(ხაჭაპურიka): 지역별 변형이 있는 치즈빵. 특히 구소련 국가를 포함한 조지아 외부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 쿠치마치(Kuchmachi)(კუჭმაჭიka): 닭 간으로 만든 요리.
  • 쿠브다리(Kubdari)(კუბდარიka): 양고기돼지고기, 향신료, 양파로 만든 고기빵.
  • 로비아니(Lobiani)(ლობიანიka): 콩을 넣은 하차푸리.
  • 로비오(Lobio)(ლობიოka): 향신료를 넣은 으깬 콩.
  • 마초니(Matsoni)(მაწონიka): 요구르트 또는 사워크림과 유사한 유제품.
  • 무주지(Mujuji)(მუჟუჟიka): 돼지 젤리.
  • 나두기(ნადუღიka): 크림과 같은 유제품.
  • 니그즈비아니 바드리자니(Nigvziani badrijani)(ნიგზვიანი ბადრიჯანიka): 튀긴 가지호두 소스.
  • 프할리(Pkhali)(ფხალიka): 다진 채소, 주로 시금치, 사탕무, 양배추로 만든다.
  • 바드리즈니 보라니 (ბადრიჯნის ბორანიka): 향신료를 곁들인 다진 가지 볶음 요리.
  • 바드리자니 므츠바닐리트 (ბადრიჯანი მწვანილითka): 신선한 허브(고수, 파슬리, 바질)를 곁들인 볶은 가지 요리.
  • 에칼라 니그즈비트 (ეკალა ნიგზვითka): 사스파릴라와 호두를 곁들인 요리.
  • 고그리스 굽타 (გოგრის გუფთაka): 호박으로 만든 완자(채식주의자용 케프타).
  • 로비오 니그즈비트 (ლობიო ნიგვზითka): 호두를 곁들인 강낭콩 요리.
  • 크나시 (ქნაშიka): 삶은 다진 호박 씨앗을 양념하여 동그랗게 만든 요리.


로비오

3. 2. 빵

조지아의 전통 빵은 다양하며, 토니스 푸리, 쇼티스 푸리, 메스후리 푸리, 나주키, 므차디 등이 있다.

조지아 빵은 전통적으로 ''톤''이라고 불리는 크고 둥근 모양의 오븐에서 구워진다.

쇼티스 푸리


아차룰리 ''하차푸리''.


하차푸리(Khachapuri)는 치즈(신선하거나 숙성된 치즈, 가장 흔하게는 술구니)와 달걀, 그리고 기타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통적인 조지아 요리이다.[6]

조지아 음식에는 조지아의 여러 지역에서 유래된 여러 종류의 독특한 하차푸리가 있다.

종류설명
아치마(Achma)(აჩმა|아치마ka)압하지야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러 겹으로 이루어져 소스가 없는 라자냐와 유사하다.
아차룰리(Adjaruli / აჭარული|아차룰리ka) 하차푸리반죽을 열린 배 모양으로 만들고 뜨거운 파이에 날달걀 노른자와 버터 조각을 올려 제공한다.
차크라키나(Chakhrakina)(ჭახრაკინა|차크라키나ka)카르틀리와 라차에서 만들어지는 하차푸리의 변형으로, 치즈와 비트 잎으로 속을 채운다.
코토리(Kotori)(კოტორი|코토리ka)투셰티에서 만들어지는 하차푸리이다. 반죽은 최대한 얇게 만들어야 하며, 속은 칼티(Kalti)(კალტი|칼티ka -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코티지 치즈)와 에르보로 구성된다.
구룰리(Guruli / გურული|구룰리ka) 하차푸리반죽 안에 삶은 달걀을 넣고 칼초네와 유사하다.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하차푸리의 한 종류로 간주되지 않는다. 구리아인들은 크리스마스를 위해 이것을 만들고 단순히 크리스마스 파이라고 부른다. 조지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구리아 파이라고 불린다.
이메룰리(Imeruli / იმერული|이메룰리ka) 하차푸리원형이며 가장 흔한 종류일 것이다.[7]
렘지라(Lemzira)(ლემზირა|렘지라ka)스바네티에서 만들어지는 의례용 치즈 빵으로 주로 둥글거나 삼각형 모양이다.
메그룰리(Mingrelian) 하차푸리 또는 "메그룰리"(Megruli / მეგრული|메그룰리ka)이메레티식과 유사하지만 위에 더 많은 치즈를 얹는다.
메스쿠리 하차푸리(Meskhuri Khachapuri)(მესხური|메스쿠리ka)퍼프 페이스트리 반죽과 치즈로 만들어지는 하차푸리이다. 반죽과 속 재료에 라드를 첨가하여 더 널리 사용되는 페노바니 하차푸리와는 다른 독특한 맛을 낸다. 메스헤티에서 만들어진다.
오수리(Ossetian) 하차푸리 또는 "오수리"(Osuri / ოსური|오수리ka)원래 이름은 "카비즈기나"(Khabizgina / ხაბიზგინა|카비즈기나ka)이다. 속 재료에 감자와 치즈를 모두 넣은 하차푸리의 한 종류이다.
페트브라알리(Petvraali)(ფეტვრაალი|페트브라알리ka)스바네티에서 만들어지는 치즈와 수수로 속을 채운 일종의 하차푸리이다.
페노바니 하차푸리(Penovani Khachapuri)(ფენოვანი|페노바니ka)퍼프 페이스트리 반죽으로 만들어져 파이의 겹겹이 바삭한 종류를 만든다. 현지 빵집에서 길거리 음식으로 자주 판매된다.
프클로바나 또는 므클로바나(Pkhlovana or Mkhlovana)(მხლოვანა / ფხლოვანა|프클로바나 또는 므클로바나ka)조지아의 산악 지역, 특히 헤비에서 만들어지는 하차푸리이다. 차크라키나와 유사하지만 시금치도 속 재료에 추가된다.
라출리 하차푸리(Rachuli Khachapuri)는 "바출리"(Bachuli / რაჭული / ბაჭული|라출리 하차푸리ka)라차에서 만들어지는 하차푸리의 한 종류이다. 치즈로 속을 채우고 직사각형 모양이며 퍼프 페이스트리 반죽을 사용한다.


3. 3. 치즈

이름설명
아차룰리 체칠리 (აჭარული ჩეჩილიka)아자리아에서 소젖으로 만들며, 밧줄 모양으로 성형한다.
초기 (ჩოგიka)투셰티에서 양젖으로 만든다.[8]
치킨티 (ჭყინტიka)원래 이메레티에서 만들어진 짜고 즙이 많은 치즈이다.
담발하초 (დამბალხაჭოka)프샤비와 므티울레티에서 만든 곰팡이 치즈이다. 가장 오래되고 비싼 치즈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담팔리 퀘리 (დამპალი ყველიka)버터 충전재가 들어있는 희귀한 치즈이다.
카르툴리 (ქართულიka)약 50%의 소젖과 양, 염소 또는 물소 젖을 섞어 만든다.
구다 (გუდაka)투셰티에서 양젖으로 만들며, 준비 과정이 20일이나 걸린다.
이메룰리 (იმერულიka)이메레티 지역에서 소젖으로 만든다.
칼티 (კალტიka)조지아의 산악 지역에서 만들며, 영양 가치 때문에 종종 목동 치즈로 여겨진다.
코비 (კობიka)소젖과 양젖을 섞어 만든 치즈로, 주로 동부 조지아에서 먹는다.
메스쿠리 체칠리 (მესხური ჩეჩილიka)메스헤티에서 만들며, 아자리아 치즈와 동일하다.
나르치비 (ნარჩვიka)스바네티에서 만들며, 커드 모양으로 성형된다.
술구니 (სულგუნიka)조지아에서 가장 유명한 치즈 중 하나로, 메그렐리아에서 유래되었다. 소젖 또는 물소젖으로 만든다. 메그렐리아 외에도 스바네티에서도 만들어진다.
테닐리 (ტენილიka)삼츠헤-자바헤티에서 만들며, 커드 모양으로 성형된다.


3. 4. 샐러드


  • 키트리 포미드브리스 살라타(კიტრი პომიდვრის სალათაka): 오이토마토를 주재료로 하는 샐러드로, 조지아 허브, 채소, 카헤티 오일(კახური ზეთიka)을 넣어 만든다. 때로는 호두 소스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
  • 이스파나키스 살라타(ისპანახის სალათაka): 시금치를 주재료로 만든 샐러드이다.
  • 프할리(Pkhali)(ფხალიka): 잘게 썬 채소를 공 모양으로 만든 음식이다. 주로 시금치, 양배추 또는 으로 만들며, 석류 씨를 고명으로 올린다.
  • 사가자프훌로 살라타(საგაზაფხულო სალათაka): 봄에 만들어 먹는 샐러드로, 정해진 레시피는 없지만 주로 신선한 재료와 삶은 달걀로 만든다.
  • 사타츠리스 살라타(სატაცურის სალათაka): 아스파라거스로 만든 샐러드이다.
  • 차르클리스 살라타(ჭარხლის სალათაka): 사탕무로 만든 샐러드이다.
  • 존졸리(ჯონჯოლიka): 방울꽃의 절인 꽃봉오리.[22]

3. 5. 수프와 스튜

하르초(ხარჩოka)는 메그렐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조지아식 수프로, 쇠고기, 쌀, 잘게 썬 호두, 체리 자두 퓌레를 넣어 만든다. 걸쭉하고 매콤한 맛이 특징이며, 보통 잘게 썬 신선한 고수를 듬뿍 뿌려 먹는다.[3]

차카풀리는 카헤티와 카르틀리 등 조지아 동부 지역에서 즐겨 먹는 스튜이다. 양고기나 송아지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타라곤, 트케말리 (체리 자두), 드라이 화이트 와인, 다진 허브 (파슬리, 민트, 딜, 고수 등), 마늘 등을 넣어 만든다.

차호흐빌리는 조지아 서부 지역에서 유래한 전통 수프로, 닭고기나 칠면조와 같은 가금류를 주재료로 한다. 신선한 허브, 토마토, 마늘 등을 넣어 만든다.

치히르트마는 카헤티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는 수프로, 닭고기나 칠면조 육수에 달걀을 풀어 넣어 만든다. 걸쭉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밀가루와 양파를 넣어 맛을 내기도 한다.

하쉬는 조지아 동부 지역, 특히 카헤티에서 즐겨 먹는 요리이다. 소나 양의 내장, 머리, 다리 등을 푹 고아 만든 국물 요리로, 보통 으깬 마늘, 식초, 소금, 후추 등을 곁들여 먹는다.

로비오는 조지아 서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강낭콩 스튜이다. 붉은 강낭콩을 주재료로 하여 양파, 마늘, 고수, 잇꽃(홍화) 기름, 페누그릭, 메리골드 등을 넣어 만든다.

푸리스 하르초는 카르틀리 지역에서 유래한 빵 수프이다.

셰차만디는 카르틀리 지역에서 주로 만들어지는 수프로, 주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시금치, 아욱, 마늘, 산딸나무, 곡물, 수영, 분홍색 비늘나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마츠브니 수피는 마촌(Matsoni)을 주재료로 만든 수프이다.

보즈바쉬는 양고기, 완두콩, 밤으로 만든 수프로, 주로 카헤티 지역에서 먹는다.

하르실은 스바네티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시금치 수프이다.

3. 6. 육류 요리

조지아의 육류 요리
요리설명
압하지우라 (აფხაზურა|아프하주라ka)압하지야에서 유래한 튀긴 미트볼. 곱창 껍질에 싸여 있다.
아포흐티 (აპოხტი|아포흐티ka)건조/훈제 육류 (소, 양, 거위, 오리|소, 양, 거위, 오리ka)
바티스 셰차만디 (ბატის შეჭამანდი|바티스 셰차만디ka)메스헤티거위로 만든 수프
보즈바시완두콩, 밤, 토마토를 넣은 양고기 수프
차나키 (ჩანახი|차나히ka)토마토와 양고기로 만든 수프
차호흐빌리 (ჩახოხბილი|차호흐빌리ka)토마토와 가금류 고기(닭고기 또는 칠면조|닭고기 또는 칠면조ka)로 만든 수프
차카풀리 (ჩაქაფული|차카풀리ka)카헤티산 벚나무 자두, 타라곤, 고기(양고기, 소고기 또는 송아지 고기|양고기, 소고기 또는 송아지 고기ka)로 만든 스튜
차슈슐리 (ჩაშუშული|차슈슐리ka)매콤한 토마토 베이스의 쇠고기 스튜
치히르트마 (ჩიხირთმა|치히르트마ka)카헤티산 닭고기와 계란으로 만든 수프
쿠프타조지아식 케프타 미트볼
하르초 (ხარჩო|하르초ka)소고기, 토마토, 허브, 호두로 만든 수프
하쉬 (ხაში|하쉬ka)소 또는 양의 삶은 부위를 육즙에 넣어 조리한 요리
하슐라마 (ხაშლამა|하슐라마ka)삶은 고기
힌칼리 (ხინკალი|힌칼리ka)동부 조지아에서 소고기, 돼지고기 또는 양고기(메스헤티에서는 거위로 채움|메스헤티에서는 거위로 채움ka) 허브로 채운 만두
쿠브다리 (კუბდარი|쿠브다리ka)스바네티산 고기로 속을 채운 하차푸리
쿠치마치 (კუჭმაჭი|쿠치마치ka)호두와 석류 씨를 곁들인 닭 간 볶음
쿠파티 (კუპატი|쿠파티ka)돼지고기로 만든 튀긴 소시지
로리 (ლორი|로리ka)라차산 훈제 돼지고기
카바비 (ქაბაბი|카바비ka)불에 구운 고기로, 석류 씨를 곁들임
므츠바디 (მწვადი|므츠바디ka)불에 구운 고기
무주주지 (მუჟუჟი|무주주지ka)고기와 채소(특히 당근과 기타 허브|특히 당근과 기타 허브ka)로 채운 일종의 젤리
카기 (ყაღი|카기ka)훈제 고기
카우르마 (ყაურმა|카우르마ka)다진 고기를 넣은 일종의 수프
사치비 (საცივი|사치비ka)서부 조지아에서 유래된 바제라는 호두 소스를 곁들인 가금류 고기
실라플라비 (შილაფლავი|실라플라비ka)양고기, 향신료, 채소로 만든 필라프
슈크메룰리 (შქმერული|슈크메룰리ka)크림 기반 소스를 곁들인 닭고기
타바카 (ტაბაკა|타바카ka)아지카를 곁들인 구운 닭고기
톨마 (ტოლმა|톨마ka)돌마의 조지아식 버전. 속은 대부분 고기이며 양배추 또는 포도 잎에 말려 있다.
지스호라 (ზისხორა|지스호라ka)스바네티산 삶은 피순대


3. 7. 소스와 향신료

압하지야와 사메그렐로 지역 요리는 많은 향신료호두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아지카(აჯიკა)는 고추와 향신료로 만든 소스로, 압하지야와 사메그렐로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며, 건조 향신료 혼합물로도 판매된다.[1][2] 스바네티 지역에서는 스반 소금(სვანური მარილი)이라는 향신료를 첨가한 소금이 유명하다.[4]

조지아 요리에 흔히 사용되는 소스와 향신료는 다음과 같다.

  • 아지카(აჯიკა): 매운 고추로 양념한 페이스트 또는 소스.
  • 흐멜리 수넬리(ხმელი სუნელი): 가루 형태의 허브/향신료 혼합물.
  • 청색 호로파(ულუმბო, უცხო სუნელი): 일반 호로파보다 순하다.
  • 바제(ბაჟე): 호두 소스.
  • 고수: 씨앗을 갈아서 만든다.[9]
  • 금잔화: 조지아 사프란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호두 요리에 사용되는 가벼운 꽃 향이 나는 주황색 가루.[10]
  • 사체벨리(საწებელი): 매운 토마토 소스.
  • 스반 소금(სვანური მარილი): 스바네티 산 소금에 향신료를 섞은 것.
  • 트케말리(ტყემალი): 자두 소스.

3. 8. 디저트


  • 추르치헬라 (ჩურჩხელაka): 포도 주스에 밀가루와 호두를 섞어 만든 사탕이다. 카헤티 지방에서 유래했다.[11]

추르치헬라

  • 잔주하 (ჯანჯუხაka): 추르치헬라와 동일하나 호두 대신 다진 개암을 사용한다. 구리아 지방에서 만들어진다.[11]
  • 고지나키 (გოზინაყიka): 주로 새해를 위해 만들어지는 사탕이다. 다진 호두와 꿀로 만든다.[11]

호두로 만든 무라바

  • 무라바 (მურაბაka): 호두, 수박, 마르멜로, 무화과, 베리류와 꽃(특히 야생 장미)과 같은 과일로 만든 일종의 이다.[11]
  • 펠라무시 (ფელამუშიka): 포도 주스와 밀가루로 만든 디저트로 달콤한 죽과 비슷하다.[11]
  • 트클라피 (ტყლაპიka): 과일 퓌레 또는 추르치헬라의 남은 주스로 만든 조지아식 과자이다.[11]
  • 치리 (ჩირიka): 살구, 포도, 자두, 무화과와 같은 말린 과일.[11]
  • 아크바쿠아르(Аквакуар): 압하스에서 만들어지는 꿀 비스킷.
  • 알라하루이 혹은 알라하리야(ალაჰარუი / Алаҳария): 압하스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는 무화과 롤업.
  • 알바하지(ალვახაზი): 꿀과 아몬드로 만들어진, 다양한 모양의 카헤티 지역의 과자.
  • 샤카르라마(შაქარლამა): 설탕이나 꿀로 만들어진 아차라 지역의 비스킷.
  • 타플리스 크베리(თაფლის კვერი): 꿀로 만들어진 사탕.
  • 나즈키(ნაზუქი): 계피, 레몬 커드, 건포도가 들어간 빵. 주로 시다 카르트리, 특히 수라미에서 만들어진다.
  • 파추히(ფაჩხი): 배의 건조 분말을 물과 섞어 만든 스바네티 지역의 디저트.
  • 파흘라바(ფახლავა): 튀르키예의 디저트, 바클라바의 아차라 버전.
  • 파르스타키(ფალუსტაკი): 밀가루, 꿀, 엘보를 섞어 만든 디저트. 할바와 비슷하다.
  • 메스후리 쿼다(მესხური ქადა): 메스헤티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는 라드와 밀가루를 섞어 만든 빵의 일종.
  • 코르코타(კორკოტა)는 곡물을 물에 불려 섞어 만든 죽으로, 꿀, 설탕, 건포도, 때로는 호두를 함께 넣기도 한다. 종종 장례식에서 제공된다.[11]

4. 와인

조지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 지역이다. 비옥한 계곡과 트란스코카서스의 보호받는 경사면은 적어도 8000년 동안 포도 재배와 신석기 시대 와인 생산(ღვინოka, ''ɣvino'')의 고향이었다.[12][13][14][15] 조지아 역사에서 와인의 오랜 세월과 두드러진 경제적 역할로 인해 와인의 전통은 국가 정체성과 얽혀 있으며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12]

가장 잘 알려진 조지아 와인 지역으로는 카헤티, 카르틀리, 이메레티, 라차-레츠후미 및 크베모 스바네티, 아자리아, 압하지야가 있다.

유네스코는 크베브리 점토 항아리를 사용하는 고대 전통 조지아 와인 제조 방식을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추가했다.[16][17]

조지아 와인은 동유럽 전역에 잘 알려져 있으며, 연간 1천만 병 이상의 와인을 수출하는 중요한 국가 수출품이다. 많은 조지아 와인은 사페라비와 르카치텔리와 같이 서방 세계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전통 조지아 포도 품종으로 만들어진다.

참조

[1] 서적 Georgia, Bradt Travel Guide
[2] 서적 Абхазская кухня Алашара
[3] 웹사이트 Georgia’s addictive cousin to pizza? https://www.bbc.com/[...] 2017-11-21
[4] 간행물 Atlas of Origin linked food Products in Georgia http://www.eastagri.[...] FAO 2020
[5] 문서 Ethnobotany of the Caucasus Springer Reference 2017
[6] 서적 The Georgian feast: the vibrant culture and savory food of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웹사이트 About Food – Imeruli (Imeretian Khachapuri) https://georgiaabout[...] 2012-07-27
[8] 웹사이트 IPCG http://www.sakpatent[...]
[9] 웹사이트 SPICES AND HERBS USED IN GEORGIAN CUISINE https://georgianreci[...] 2024-01-01
[10] 웹사이트 Georgian Cuisine Guide: Must-Try Dishes & Food in Georgia https://www.theworld[...] 2024-01-01
[11] 웹사이트 11 Georgian Desserts and Sweets you have to try https://tourguide.ge[...]
[12] 간행물 Georgia: A guide to the cradle of wine http://www.vinologue[...] Vinologue
[13] 웹사이트 Traditional winemaking in Georgia - the oldest wine in the world - Cycloscope http://cycloscope.we[...] 2015-04-15
[14] 웹사이트 Unearthing Georgia's wine heritage http://edition.cnn.c[...] CNN 2018-02-21
[15] 서적 Cultures of The World Georgia
[16] 웹사이트 Georgian winemaking method joins UNESCO heritage list https://www.decanter[...] 2020-11-26
[17] 웹사이트 Ancient Georgian traditional Qvevri wine-making method https://ich.unesco.o[...] 2020-11-26
[18] 웹사이트 Georgia's cuisine ranked 4th in Europe https://agenda.ge/en[...] 2015-01-13
[19] 뉴스 Eating with the enemy: why Russia loves Georgian food https://www.independ[...] 2010-03-10
[20] 문서 日本人がハマる「グルジア料理」とは?人気料理5選と東京で食べれるお店をご紹介! https://kurashi-no.j[...]
[21] 문서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22] 뉴스 【大使館の一皿】欧州とアジア 大皿で出合う/ジョージア流 ワインで乾杯『日本経済新聞』朝刊2020年3月22日(NIKKEI The STYLE / Gourmet)
[23] 문서 Food Culture in Russia and Central Asia
[24] 서적 The Georgian feast : the vibrant culture and savory food of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25] 웹사이트 IPCG http://www.sakpatent[...] 2021-01-21
[26] 웹사이트 Fish, Georgian Food World Wide (Georgianfood.com) http://georgianfood.[...]
[27] 웹사이트 新石器時代のワイン、世界最古の残留物を発見 https://natgeo.nikke[...] 2021-01-26
[28] 서적 Georgia : a guide to the cradle of wine https://www.worldcat[...]
[29] 서적 Hyperreality and Global Culture https://doi.org/10.4[...] Routledge 2012-10-12
[30] 서적 Wine and Identity https://doi.org/10.4[...] Routledge 2014-01-10
[31] 서적 Georgia https://www.worldcat[...] Marshall Cavendish Benchmark 2009
[32] 논문 Georgian Polyphony and its Journeys from National Revival to Global Heritage https://doi.org/10.1[...] 2013-12-16
[33] 서적 For the Love of Wine https://doi.org/10.2[...] Potomac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